티스토리 뷰
물가는 끝없이 계속 오르고 가스요금,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도 계속 오르는데 월급은 오를 기미가 안 보여서 힘드신 분들이 많은 거 같습니다.
특히 겨울이 되면 난방비 걱정에 보일러를 마음대로 틀지 못하고 추운 겨울을 보내는 분들도 참 많은 거 같은데요. 그래서 오늘은 겨울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도시가스 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여 말씀드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청방법
신청은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사이트에서 가능한데요.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하면 캐시백 신청이 완료됩니다.
개별난방 사용자는 개인 회원으로, 중앙난방 사용자는 단체 회원으로 가입하면 됩니다.
개별난방 사용자
개별난방 사용자는 1인 1 고객 식별번호로 개인이 신청할 수 있는데요.
가입 시 도시가스 고지서가 필요합니다.
중앙난방 사용자
중앙난방 사용자는 개인이 신청할 수 없으며 공동주택 관리사무소나 입주자 대표회의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가입 시 사업자 등록증, 법인 통장 사본, 도시가스 고지서가 필요합니다.
도시가스 절약 방법
실내 온도를 1도만 낮춰도 난방비 7%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가스비는 온수 사용 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요. 실내 적정 난방 온도 유지, 적정 습도 유지, 적정 온수 온도 설정, 중간 수압 사용, 외출 모드를 활용하면 가스비도 절약하고 에너지 위기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23년 12월부터 24년 3월까지 신청이 가능한데요.
절감 기간은 23년 12월부터 24년 3월까지이며 비교기간은 22년 12월부터 23년 3월까지입니다.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제도
도시가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인데요.
작년 도시가스 사용량에 비해 3% 이상 절약하면 절감한 만큼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다만 30% 한도 내에서 가능하며 10원 단위는 절삭하여 지급하게 됩니다.
참여대상
주택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데요.
다만 전출, 전입이나 명의가 바뀐 경우, 신청자와 계약자의 명의가 다른 경우 등에 해당하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위 사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캐시백 지급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3% 이상 절감하면 절감률 별로 지급하는데요. 절감률이 높을수록 캐시백 지급 단가가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비교기간 사용량이 400㎡이고 절감기간 사용량이 340㎡라고 하면 절감량은 60㎡가 되는데요. 60㎡은 절감률이 15%에 해당하므로 캐시백 금액은 6천 원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