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제 곧 7월 분양 예정인 이문동 래미안 라그란데 분양 관련해서 한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래미안 라그란데
해당 사업지의 위치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257-42번지입니다. 지하 5층 ~ 지상 27층으로 총 3,069세대 중에 920세대를 예정입니다. 평수는 제곱미터 기준 52, 53, 59, 74, 84, 99,114로 일반 공급할 예정입니다.
평수 | 세대수 |
114m2 | 8세대 |
99m2 | 10세대 |
84m2 | 182세대 |
74m2 | 123세대 |
59m2 | 379세대 |
55m2 | 45세대 |
52m2 | 45세대 |
평수와 세대수는 위 표와 같습니다. 그중 59형을 제일 많이 분양하고 그다음은 84형이 되겠습니다.
시행사는 삼성물산에서 진행을 하고 있으며 예상 입주시기는 24년 10월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휘경자이 디센시아 같은 경우 2,930만 원으로 평당가가 정해졌지만 청약이 엄청 흥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래미안 라그란데 같은 경우에도 분양가 가격을 올려서 아마도 3,100~3,300만 원 사이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있습니다.
주변 시세
다음은 주변 시세를 알아보겠습니다. 근처에 있는 휘경 자이 디센시아가 예전에 청약을 진행했었는데 엄청 잘 되었죠? 지상철로 양 옆으로 다니고 있는데도 말입니다.
그 이유는 요새 새시가 좋아서 설치만 잘 되어있으면 소음에 대해서는 그렇게 스트레스를 안 받으셔도 될 거 같습니다. 또 교통도 좋고 위치도 좋고 가격도 어느 정도 저렴하게 나온 것 같아서 경쟁률이 되게 높았던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래미안 라그란데의 경우도 휘경자이 디센시아가 엄청 흥했기 때문에 아마 조금 더 가격을 올리는 수준으로 될 것 같습니다.
만약 휘경 자이 디센시아가 청약률이 저조했으면 비슷한 수준으로 가지 않았을까 생각이 되지만 엄청 흥했기 때문에 예상보다는 좀 더 올리는 수준으로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마 여기도 엄청 경쟁률이 높을 예정이고요. 920여 세대를 분양하는데 좀 많이 분양하는 편에 속하는 거 같습니다.
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높은 층수들은 조합원분들이 대부분 갖고 남은 건 거의 중저층만 남아 있는 점입니다.
입지분석
일단 외대 앞역까지 도보로 7분, 신이문역이 9분 정도 소요되고 있습니다. 강남까지는 2회 정도 환승을 해서 30분 정도 소요될 예정이고요.
시청역까지는 환승 없이 20분, 여의도역까지는 환승 1번 해서 약 41분 정도 소요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회기역에서 1 정거장만 가면 청량리역으로 갈 수 있어서 교통의 허브로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상권과 인프라
상권 및 인프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래미안 라그란데 인근에는 외국어 대학교가 존재하고 있어서 약 1,200개 정도의 상권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청량리역 근처에는 롯데백화점도 존재하고 있으며 삼육병원도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서 굉장히 좋은 인프라를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학군
다음은 학군입니다. 일단 초중고가 굉장히 밀집해 있죠 그렇지만 학교가 밀집해 있다고 좋은 게 아니라 해당 학군이 얼마나 좋은지 한번 확인을 해봐야 되겠죠?
아시다시피 휘경초, 경희중, 청량초 등 높은 등급의 학교가 많습니다. 그리고 근처에 외대도 있으니까 만약에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과외를 진행해 보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청약방법
일단 민간 청약이고요.
전용 면적 | 비율 | |
60m2 이하 | 가점 40% | 추첨 60% |
60 ~ 85m2 이하 | 가점 70% | 추첨 30% |
85m2 초과 | 가점 80% | 추첨 20% |
전용면적에 따른 청약 비율은 위 표와 같습니다. 그리고 1 주택자분들도 처분 조건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지역별 예치금
그러면 이제 래미안 라그란데 같은 경우에는 85 이상이 공급이 되죠.
위를 참고하시면 서울의 경우 135 제곱 이하 같은 경우에는 1천만 원 이상의 통장이 있어야 됩니다. 그런데 이걸 오해하시는 분들이 꽤 있는데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분양을 한다고 해서 1천만 원 이상이 돼야 되는 게 아니라 본인의 주민등록 등록지가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제가 서울에 살면서 114제곱미터를 지원하려고 하면 1천만 원 이상의 통장이 있어야 되고 광주광역시에 살고 있다면 700만 원 이상을 납부해 놔야 됩니다.
전매제한 및 실거주 의무
전매제한 및 실거주 의무가 현재는 3년으로 되어 있지만 추후에 법을 개정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죠. 만약 그럴 경우에는 1년으로 축소될 거라 예상됩니다.